지하수는 강우나 지표수가 지중을 침투하여 스며든 물로 비교적 깨끗하고 온도가 일정해
먹는물로 쓰기에 좋은 점이 있으나, 유리탄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에 물질을 용해하는 힘이 커서,
칼슘, 마그네슘, 중탄산염, 염화 황화물 등 다량의 광물질을 함유하여 경도가 높다.
경도가 높기 때문에 상수원 즉, 먹는물로 쓰기엔 부적합할때가 있다.
또한, 철분이나망간을 함유하는 경우가 많아 저수나 흑수의 원이 되기도 하고 철박테리아 등이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지하수는 하수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은 적지만 하폐수가 지하에 침투해 크롬, 시안, 농약 등이
검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수질검사를 실시하여 하며 수온, 탁도, 색도, 냄새, 맛 등을
측정하여 수질오염의 판단지표로 사용한다.
(지하수의 종류)
1. 천층수
지하로 침투한 물이 제1불투수층 위에 고인물, 즉 자유면 지하수를 천층수라고 한다.
지층의 여과작용과 호기성 미생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지표수에 있던 부유물질(SS)와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지표의 하폐수가 침투하여 수질이 불량한 경우가 꽤 있으며, 대장균군 및 세균의 존개 가능성이 높아
위생적으로 위험도가 높을 수 있다.
우물의 형식인 굴정호 형식을 취한다.
2. 심층수
지하로 침투한 물이 제1불투수층과 제2불투수층 사이에 위치한 피압수를 말한다.
지층의 여과작용 및 생물학적 작용에 의한 정화작용으로 무균 또는 거의 무균상태의 수질을 가지며,
수온이 거의 일정하고 성분변화가 거의 없다.
용존산소부족으로 혐의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가 이루어져 황산물이 황화수소(H2S)로, 질소화합물이
암모니아로 환원되어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탄산가스를 많이 함유한다.
심층수의 취수는 지하수층까지 강관을 박아 펌프로 양수하는 관정호 형식을 취하며, 지하수면이
5m이상의 깊이에 있으면 굴정호보다도 경제적이다.
3. 복류수
복류수는 하천, 호소의 저부나 측부의 사력층에 함유된 지하수를 말한다.
취수는 바닥의 모래층에 집수매거를 설치하여 취수하는데 매설깊이는 3~5m정도가 적당하고
집수매거의 방향은 복류수 흐름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한다.
어느정도 여과작용을 거쳐 지표수에 비하여 수질이 양호하며, 대개의 경우 침전지를 생략할수 있다.
복류수는 철분이나 망강 등의 광물질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다.
4. 용천수
지표수가 지하로 침투하여 불투수층에서 차단되어 고인 물이 수압에 의하여 어느 한쪽으로
출구를 찾아 자연적으로 지표로 솟아오른 물이다.
천연적으로 여과된 물이므로 깨끗하고 세균이 거의 없다.
수량이 극히 적어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없으나, 원수 그대로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취수시 지표나 대기중의 오염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취수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의 역사, 수질 살펴봤습니다 (0) | 2016.06.20 |
---|---|
지구의 대기권이란? (0) | 2016.06.13 |
우리나라 하천(강)의 분류와 수질 확인하기 (0) | 2016.06.09 |
해수담수화의 방법은? (0) | 2016.06.08 |
자연치즈와 가공치즈란 어떻게 다른가?? (0) | 2016.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