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감명깊게 본 애니메이션이 있는데
애니안에서 이나호라는 주인공은 빛의 굴절로
하늘이 파랗다고 알고 있는 아세히럼공주에게
"하늘이 파란 이유는 레일리 산란 때문이다"라고
말해주고 그것이 나중 스토리에 핵심역활을 했었죠.
하늘이 파란이유는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산소, 질소 등)
과 만나면 빛이 산란하게 되는데 붉은색(긴 파장)은 보다
푸른색(긴 파장)이 모든방향 으로 산란하기 쉽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 현상이 레일리 산란이라고도 한다네요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은 산란을 유발하는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아 빛의 파장보다도 작을때 일어나는데
빛의 파장은 파장 4제곱에 반비례, 빛의 파장이 길수록
급격히 산란되는 빛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어요.
레일리 산란은 가시광석에 효과적이고 짧은 파장의 빛에
효과적이므로 푸른빛은 상대적으로 긴 파장인 붉은 빛보다
공기분자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산란되며, 그 현상으로 인해
지구에서 보는 푸른하늘, 우주에서 보는 대기의 푸른색,
붉은색의 노을 등의 원인이 된답니다.
아침과 저녁에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를 지나는 길이가 길어져 파장이 긴
붉은계열의 빛이 남아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이죠
미 산란(Mie Scattering)은 입자의 크기가 빛의파장과 비슷하거나 클때
나타나며 수증기, 매연, 먼지 등이 큰 입자에 해당한다.
오염이 심한날 하늘이 회색으로 보이는 것,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 것, 달무리 해무리 등이 미 산란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빛이 지구 대기를 지나는 시간이 늘어나면 레일리 산란되는
푸른빛이 많아져 그 결과 눈에 들어오는 붉은색 비율이 늘게되고
많아진 붉은색 파장의 빛이 공기중 먼지등에 미 산란되어
하늘이 빨갛게(붉게)보이게 되는 것 입니다 ^^
지금까지 하늘이 파란이유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알드노아 제로라는 애니메이션도 재밌게 봤지만
그것을 통해 재밌는 과학의 상식도 알수 있어
나름 일석이조의 애니가 아니였나 생각해봅니다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과류가 좋은점은?? (0) | 2016.06.06 |
---|---|
육교에 대한 짧게 생각해봤습니다 (0) | 2016.06.05 |
중수도의 이해! (0) | 2015.08.14 |
여름철 사고 예방과 해파리 피해 응급처치! (0) | 2015.08.13 |
소화기, 소화전 사용법 안내 (0) | 201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