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VE CAR/기능과 원리

자동차의 보디(body)의 안전구조

반응형

자동차의 보디(body)는 사고 등으로부터 안에 탄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보디의 구조가 너무 단단하고 강했기때문에

많이 찌그러지지 않았지만 사고때 충격이 대부분

승객에게 전해져 중상을 입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사고때 충격을 흡수할수 있도록 안전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차 보디는 많은 역할을 하고 있지만

오늘을 특별히 안전구조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어떤 보디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사고시 생명이 왔다갔다 할수 있으니까 매우 중요합니다.

 

 

안전구조는 특히 2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크러셔블 존, 세이프티 존이란 것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크러셔블 존이란 충격을 흡수하는 존으로서 사람이 타고 있는

앞뒤에 있는 엔진룸, 트렁크 등이 크러셔블 존이라 할 수 있는데,

사고시 찌그러들어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사고는 자동차 앞, 뒤 말고도 측면에서 일어날 수도 있는데,

이럴경우엔 크러셔블 존 배치가 불가능하니,

임팩트 빔 등을 배치하고 지지구조가 튼튼하게 하거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배치함으로서 충격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앞바퀴굴림 방식(FF) 차량에서는

엔진과 미션이 앞뒤로 배치되어 일부가 실내로 돌출되어 있어

충돌시 엔진이 뒤로 밀린 경우 엔진과 미션이 실내로 들어올 확률이 높습니다.

그에 대한 방지책으로 보통 엔진과 미션은 위치를 조정해

프로펠러 샤프트를 접히게 해서 엔진과 미션이 보디와 비스듬하게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배치되어 안전을 지켜주고 있습니다.

 

 

 

 

엔진룸의 어퍼 프레임이나 로어 멤버라는 구조가

앞에서 오는 충격에너지를 분산, 흡수하게 되는데,

또한 상대차량 충격흡수 부재와 엇갈리게 함으로써

충격을 더 넓은 면에 받아들임으로써 효울적으로 실내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튼튼한 자동차의 보디(body)는 주행 질감을 좋게해주고

고속이나 회피기동시 안정감을 올려주기도 하지만

이렇게 충격시 자동차 실내 승객을 보호해줌으로서

생명을 지켜주는 역할을 감당하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