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VE CAR/기능과 원리

CVT 무단변속기의 간단한 원리

반응형

보통 수동미션이나 오토미션, 더블클러치미션은 기어의 조합을

변경시키므로 변속이 이루어진다.

한편 CVT, 특히 벨트식CVT는 입력과 출력측 풀리라는 것에

축방향으로 유압을 가하여 풀리에 걸려있는 벨트 반경을 바꿔서

그것을 변속비로 취해 변속의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은 오랫동안 우리들에게 다가왔는데,

특히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에서는 벨트에 의한 동력전달이 주로되었지만

자동차의 트렌스미션에서는 기어기구가 압도적인 점유를 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벨트에 의한 마찰이나 윤활같은 지식 부족에 따른 것으로

요즘엔 그런 지식의 발전과 함께

CVT라는 무단변속기가 발달되었으며,

초창기에는 CVT가 변속느낌도 안좋고 효율도 낮아 많은 조롱을 받았지만

현재는 연비가 좋고 미래의 변속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이런 CVT는 무단변속기로 불리우는데,

기어에 의한 단수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이고

기어 갯수에 대한 제약이 없기때문에 아주 부드럽게 변속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한 CVT 변속 원리로는

아주 쉽게 자전거 변속을 살펴보면 알수 있는데,

체인이 변속 스프로킷 휠이란 곳 중에 어디 위치해있는지에 따라

저단에서는 기어비가 낮아 적은 힘으로 높은 힘(적은 회전력)을 내며,

고단에서는 높은 기어비의 효과를 내어 적은 힘으로 높은 회전력을 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전거 기어의 효과와 같이

벨트형 CVT에서는 풀리라는 것에 벨트를 감아

축방향으로 유압을 가하여

2개의 풀리 중 한쪽은 엔진으로부터 입력을 받고

다른 한쪽 풀리는 변속이 완료된 회전을 출력하게 된다.

 

 

자전거의 체인과 같이 벨트이 길이는 변하지 않기때문에

한쪽 풀리에서 풀리외곽(외주)쪽으로 가면

다른 한쪽 풀리에서는 자연히 벨트가 외경작은쪽으로 가는데

이러한 거동으로 인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내는 것이

바로 무단변속기 CVT라고 할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