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VE CAR/기능과 원리

자동차 엔진의 각종센서, 엔진제어시스템에 대해서~

반응형

엔진의 각종센서와 엔진제어시스템은 굉장히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데요

그 과정에 대해서 초보인 저도 잘 알지 못하지만

각종 센서가 하는 일에 대해

서 간단히 알아보고

어떻게 제어되는지 알아볼게요.

 

 

1. 각종 센서류!

에어플로 미터: 엔진에 들어오는 흡입 공기량을 검출합니다.

 

크랭크포지션 센서: 크랭크샤프트의 회전 각도를 검출한다.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 액셀의 밟는 힘의 정도를 검출한다.

 

노킹센서: 원래 착화시기보다 빨리 연소해 불완전연소를 통해 진동이 나는 노킹을 감지.

 

흡기압 센서: 흡기압 내의 흡기압을 측정한다.

 

산소 센서: 배기 중의 산소농도를 검출해서 공연비대로 연소가 이뤄지는 감지.

 

탱크 내압 센서: 연료배관계의 압력을 검출한다.

 

수온센서: 냉각장치의 냉각액 온도를 검출한다.

 

캠포지션 센서: 엔진 밸브를 개폐하는 캠샤프트가 어느위치에 있는지 검출하는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밟은 양(스로틀 열림정도)을 검출한다.

 

2. 엔진제어시스템

이렇게 각종 엔진 센서에서 부품의 여러 가지 물리현상을 측정해서

전기신호로 변화해 ECU에 전달한다.

 

ECU: 각종 전기신호를 받은 다음에 그것을 토대로 이론 연산을 통해

액추에이터 작동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액추에이터: ECU로 부터 받은 작동신호를 자동차 각 부분을 움직이게 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다양한 액추에이터가 작동해서 최종적인 엔진의 분사량이 결정됩니다.

 

지금까지 정말 간단한 엔진제어시스템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정확한 시스템은 각 회사마다 다르고

공학적인 부분 또한 많기때문에 저같은 일반인은 알기 힘듭니다.

 

그래도 요즘 전기로 움직이는 부분이 많아서

엔진이 심장이라면 ECU는 거의 뇌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것 같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