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차 길들이기는 왜?
요즘 잘 보고 있는 모트xx이라는 매체의 말처럼 무조건 풀악셀도 좋지만
새차를 구입한 직후 길들이기를 어떻게 했냐에 따라서
차의 수명이나 성능이 많이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스트레스 받아가면서 하는건 안좋겠지만
어느정도는 인내를 발휘해서 해주는 것이 좋으니까요.
어떤 사람들은 새차 사면 무조건 고속으로 밟아줘야 한다라고 하지만
이건 많이 잘못된 생각!
요즘 차랑 설명서에도 길들이기가 나올만큼 매우중요하니까요
아무리 기계적으로 차량이 발전했다고 하지만
처음부터 무리한 운전은 엔진, 미션 등에 무리는 줄 뿐만아니라
연비조차 나빠질수 있습니다.
새차 길들이기 하는 시간은 약 2,000km정도지만
차량의 설명서에 나온 기간 만큼은 충분히 지켜주는 것이 좋으며
특히 초반엔 매우 조심스런 운전습관이 필요합니다.
길들이기 주행중에서도 초반엔 매우 조심스럽게
급출발, 급제동은 삼가는게 좋으며
약 1,000km 내외 주행 후 고속주행도 함께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급가속과 급제동은 연료소비량이 많아지므로 인해
불완전 연소가 일어날 수 있기때문에 엔진에 무리가 가고
불완전 연소로 인한 배출가스도 많이지게 됩니다.
물론 기계적으로 많이 발전해왔기 때문에
큰 차이를 느낄수 없을수 있으나 길들이기를 잘 한 차량과 못한 차량은
나중에 주행을 많이 할수록 차량의 상태가 달라지기때문에
오래탈 생각이라면 길들이기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 생각이 드네요 ㅎㅎ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마지막으로 엔진오일 교환 주기는
차량의 엔진과 주행습관, 주행거리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첫 엔진오일 교환은 길들이기 직후
그 다음엔 광유일 경우 무조건 5,000km이내,
합성유일 경우 5,000~10,000km 정도에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기도 하지만
엔진오일 주기가 비교적 빠른 이유는
적은 금액으로 차량 엔진의 상태를 오래 유지시킬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인데요
오일교환주기를 잘 지키지 않은 차량의 경우
10만~20만km이상 주행했을때 엔진찌꺼기 등이 엄청 많아져
진동과 소음이 엄청나지기때문입니다.
광유일 경우 보통 3~6만원이면 교체가 가능하니
엔진오일 교환은 신경써주는게 좋지 않을까요? ㅎㅎ
'LOVE CAR > 기능과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에서 토크, 변속비란? (0) | 2017.09.05 |
---|---|
ABS와 브레이크 락 초보가 이해한 개념! (0) | 2017.08.30 |
엔진오일의 작용 간단히 알아보기 (0) | 2017.08.28 |
자동차에서 엔진 위치와 구동방식 분류 (0) | 2017.08.18 |
초보가 말하는 자동차 디스크 브레이크 (0) | 2017.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