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대문독립공원에 다녀왔어요 ^^ 안녕하세요. 이번엔 광복절을 맞아 서대문독립공원에 가 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서대문독립공원은 독립문, 역사관, 독립관, 순국선열추념탑, 서대문형무소가 연결되어 함께 있는 공원입니다. 예전에는 공원입구에 상가와 주택이 중구난방으로 들어서고 시설들이 흩어져있어, 공원을 이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많았다고 하는데 2007년 4월에 공원을 개편해서 주요시설을 유기적으로 묶고 낡은건물을 정비해서 다시 개원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용이 제한되던 독립문도 공원 재개장할때부터 112년만에 시민들에게 개방되는 순간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서대문형무소는 1906년에 일제에 의해 지어졌고 그후 80년이 넘게 항일 독립운동에 대한 상징적인 시설물이 되었습니다. 서대문형무소는 일본침략에 대항하는 많은 애국지사들을 가두었으.. 더보기
중수도의 이해! 안녕하세요. 지금 지구는 병들어가고 있고 물또한 오염되어 먹는 물이 부족한 나라도 있고, 수질오염으로 큰 위기를 껶은 나라도 있지요, 그래서 우리도 물을 아껴쓰지 않고 함부로 쓰게되면 물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습니다. 중수도라는 말이 어렵다면 현대의 물 재활용이며, 물절약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쉽게 말하면, 상수도는 깨끗한 물, 하수도는 더러운 물인데 이 사이 '중수도'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먹는물 식수는 당연히 깨끗한 원수로 만든 아주 깨끗한 수돗물이어야 하지만 화장실의 변기 물, 도시 아스팔트를 청소하는 청소수, 공장에서 쓰이는 잡 공업용수까지 새 수돗물을 쓴다면 좀 아까울거 같습니다. 중수도는 에어컨냉각용, 세차용, 청소용, 살수용, 조경용, 소방용 등의 잡용도에만 사용되고 가.. 더보기
여름철 사고 예방과 해파리 피해 응급처치! 올해 여름이 유난히 덥고 습한거 같은데요. 아마 장마가 짧아 상대적으로 폭염기간이 길어서 그런거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을 해보고 있어요. 폭염은 통상 30℃이상의 불볕더위가 지속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폭염이 이어지면 개인의 건강뿐만아니라 산업·경제 및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최고기온이 높게 되면 65세 이상 고령자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등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폭염에 대해 특보를 발령하는데 최고기온과 지속기간을 기준으로 '주의보'와 '경보'를 발령하는 제도를 운영하게 됩니다. -폭염주의보: 일최고기온 33℃이상 2일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입니다. -폭염경보: 일최고기온 35℃이상 2일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입니다.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가 내려지게되면 평소보다 더욱 조심하여.. 더보기
하늘이 파란이유(레일리 산란, 미 산란) 얼마전 감명깊게 본 애니메이션이 있는데 애니안에서 이나호라는 주인공은 빛의 굴절로 하늘이 파랗다고 알고 있는 아세히럼공주에게 "하늘이 파란 이유는 레일리 산란 때문이다"라고 말해주고 그것이 나중 스토리에 핵심역활을 했었죠. 하늘이 파란이유는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산소, 질소 등) 과 만나면 빛이 산란하게 되는데 붉은색(긴 파장)은 보다 푸른색(긴 파장)이 모든방향 으로 산란하기 쉽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 현상이 레일리 산란이라고도 한다네요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은 산란을 유발하는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아 빛의 파장보다도 작을때 일어나는데 빛의 파장은 파장 4제곱에 반비례, 빛의 파장이 길수록 급격히 산란되는 빛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어요. 레일리 산란은 가시광석에 효과적이고 .. 더보기
소화기, 소화전 사용법 안내 소화기 사용법 안내! 모든 사고와 생활재난이 그렇듯 아차하는 순간에 화재는 발생할 수 있으나 발생하면 인명피해와 커다른 재산피해를 입을 수 있어 더욱 특별히 조심해야 하는 것이 화재인데요, 물론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최선의 방법이겠지만 화재는 초기에 진압한다면 큰 피해 없이 막을 수도 있습니다.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도구가 바로 소화기 인데요,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바로 알아서 화재발생시 제대로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출처- 서울시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 1. 불이 난 장소로 소화기를 가져간다. 2. 소화기 안전핀을 뽑는다. 3. 바람을 뒤로하고 소화기 호스를 불이 난 곳으로 향하게 잡는다. 4. 손잡이를 꽉 잡고 불을 향해 빗자루로 쓸듯이 소화액을 뿌린다. 주의사항! 소화기 안전핀을 뽑으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