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수의 수질특징은 우수가 지표나 하도를 유하하는 동안
유기 및 무기 현탁성의 물질을 함유하게 된다는 점이다.
지하수에서는 주료 용해성 성분으로서 무기염류가 공급되고
지표를 흘러온 물에서는 현탁성분이 공급되어
하천수는 양자의 혼합수질로 결정된다.
따라서 염류농도는 지하수나 우수의 중간 정도가 되며,
현탁성 성분이 어느정도 함유되어는가는 강우의 특성과
큰 관련이 있다. 강한 비에 의해 단시간에 유출되는 물은 고탁도가 되고
약한비는 탁도가 적을 수 밖에 없다. 또 매우 약한 비나 비가 내리지
않을 때는 지하수의 유출만으로 하천수량이 유지되어 깨끗한 물이
하천을 흐르게 되는 것이다.
하천수 정도의 염류농도 범위라면 일반적으로 정수처리에서 처리대상으로
보지 않으므로 홍수시나 갈수시의 용해성 성분 차이는 큰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탁도는 홍수시와 평수위일때 변화폭이 엄청 크기 때문에
정수장의 운전을 매우 어렵게 하고 있다.
하천수 특징 중에 또다른 하나는 유기착색성분 이라는 것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다갈색 색도표준액으로 색상이 규정되어 있는
즉 휴민질이라는 성분의 혼입인데, 휴민질은 매우 긴시간에 걸쳐
유기질이 분해된 결과 생겨난 분해산물에 가까운 안정한 유기물이
물에 유출된 형태라 볼 수 있다.
휴민질류는 자연계 식물의 분해에서만 나오지 않고
하수처리시설이나 폐수처리시설 등에서 나온 처리수에서도
항상 존재하는데, 이들은 생물처리시 미생물이 기질이 되는 성분을
섭취하고 증식하는 과정에서 액체의 폐성분으로 방출한 것이다.
이것은 최종 생물분해물로서 천연휴민질과 거의 같은 종류이며,
처리수에 다량함유되어 하천 등으로 유출되고 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과 zcash 마이닝 하루 채굴량 결과 (0) | 2017.10.08 |
---|---|
우리는 어떤 부모입니까? (0) | 2017.03.29 |
지하수의 수질과 특징 그리고 오염 (0) | 2016.09.02 |
정수장에서 염소처리설비 (0) | 2016.08.28 |
슬러지처리 프로세스에서 유량의 조정 (0) | 2016.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