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록형성을 위한 실용적인 방법으로는
수류교반을 이용하는 우류식 또는 파이프식,
기계적으로 교반하는 패들형이 있다.
큰 정수장에서는 기계교반식의 횡축패들형 플록큐레이터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운전실적도 많이 있다.
중소규모의 정수장에서는 상하우류식의 수로를 플록형성지인
구조가 간단하다는 이유에서 권장되고 있다.
대규모정수장에서도 수로를 병렬로 다수 배치한 상하 우류식
플록큐레이터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1만톤/일 이하의 소규모 정수장에서 직경 200mm 정도의 파이프로
원수를 도수할때 관벽의 마찰로 손실되는 에너지량(손실수두)이 매우 크다.
이 경우 플록형성에 필요한 정도의 관내체류시간을 가질 수 있는
어떤 지점을 선정하여 응집제를 도수관에 투입하면 도수관을 플록큐레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엔 도수관내에서 형성된 플록이 착수정에서
깨지지 않도록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 종축형 교반낼개로 플록을 형성시키는 정수장도 다수 있다.
이러한 플록큐레이터에서는 교반이 약하면 성장한 플록이 바닥에
침전하여 다른 미성장플록이 그 이상 성장하지 않게 되고,
또 플록이 침전되지 않도록 교반의 강도를 높이면 플록이 깨져 침강성이
개선되지 않는 등 상반되는 현상이 항상 존재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플록형성을 위한 교반조작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원만한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때때로 보인다.
이에 반해 횡축패들형은 교반에 의해서 패들과 패들사이의 물이 항상 조내를
조의 크기만큼의 회전류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플록은
교반이 느려도 침전하는 일이 거의 없다. 플록형성에 필요한 교반강도는
물이 패들보다 조금 늦게 패들과 함께 돌때 회전속도의 차에 의해 생기고
플록큐레이터 날개 뒤의 약한 수류가 만드는 와류에 의해서 얻어진다.
이와 같이 약한 와류에 의해 플록은 파괴없이 점점 크게 성장하고 회전류에
편승하여 침강하지 않고 부유를 계속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장에서 염소처리설비 (0) | 2016.08.28 |
---|---|
슬러지처리 프로세스에서 유량의 조정 (0) | 2016.08.24 |
수처리과정의 활성탄 흡착 (0) | 2016.08.19 |
부영양화 현상중에 조류는? (0) | 2016.08.16 |
오존 살균법의 간단한 특징 및 내용 (0) | 2016.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