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살기위해서는 환경을 보전하면서 살아야하며, 이런 것을 친환경적으로 산다고 한다. 친환경적이란 자연이 우리에게 허용하는 범위에서 물을 소비해야 하는 것이고 이러한 물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서 장기적으로는 수원의 확보뿐만아니라 물의 재이용, 중수도, 합리적은 소비시스템 등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물부족의 원인으로는 이상기후를 뽑을수 있으며, 용수증가를 못따라간 물 수급 불안정, 유역별 수자원 부존량과 용수 수요의 불균형, 시민의 절수의식 부족, 수도물의 방지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특성상 하천유로가 짧고 계절적인 영향으로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등 가용 수자원이 부족한 것도 원인이 된다.
물부족의 대책
1. 생산 단가의 70%정도인 상수도 요금을 현실화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되면 절수의식도 높아지고 계절적으로 수도요금 요율제 등을 도입해서 물절약을 유도할수 있다.
2. 중수도 보급 확대를 위한 시범사업의 전개, 대폭적인 금융지원, 주요시설에 대한 설치 의무화 등 제도를 추진해야 한다.
3. 하수처리수를 재이용 하는 것도 중요하다. 양적으로 풍부하고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대량 공급이 가능하기 대문에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여, 살수용수, 조경용수, 화장실용수, 농업용수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절수효과가 뛰어나므로 적극적인 추진이 필요하고 이를위해 중수도 원수개념에 하수처리수도 포함하는 것도 좋다.
4. 노후관으로 인한 누수량 감소를 위해 관교체를 시행하거나 개량을 통해 통수능력을 회복하고 관의 사용연수를 향상시켜야 한다.
5. 누수는 관내 수압, 관의 노후도, 관의 부식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 원인에 맞는 방지대책을 수립해서 유수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6. 절수용 기기를 개발하고 사용을 의무화 하는 등 설치를 확대해야한다. 성능이 우수한 절수기기에 대해선 인증제를 실시하여 우수성을 알려야 한다.
하천수의 취수시설 종류
하천표류수의 취수시설은 최대홍수시나 최대갈수시에도 지장을 받지 않고 계획 취수량을 충족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하천수의 취수는 취수지점의 유황, 취수량의 정도에 따라 취수보, 취수탑, 취수문, 취수관로 등으로 결정된다.
취수시설을 설계하거나 계획할때는 정확한 최대홍수위, 최대갈수위 뿐만아니라 설치지점의 하상에 적합하도록 위치, 높이, 구조 등을 결정하여야 하며, 최대홍수위에서도 수문을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동절기의 결빙때문에 계획취수량의 확보가 곤란할 경우에도 대책을 세워야 한다.
취수보
취수보는 하천을 막아 안정된 취수를 할 수 있게 하며, 둑, 취수구, 침사지 등으로 구성된다.
안전한 취수와 침사효과가 가장크며 대량취수시 하천의 흐름이 불안정한 경우에 적합하다.
취수탑
하천의 수심이 일정 이상인 곳에 설치하여 연간 안정된 취수가 가능하도록 하며, 취수구를 상하에 설치하면 안정된 수질을 확보할수 있다.
유황이 안정된 하천에 대량으로 취수할때 유리하다.
취수문
취수구 시설에 스크린, 수문, 수위조절판 등이 일체가 되어 작동하며, 소량취수에 유리하고 유황 하상 취수위가 안정되어 있으면 유지관리도 비교적 용이하고 안정된 취수가 가능하나 부유물이나 토사유입의 방지는 불가능 하다.
취수관로
취수구부를 복단면하천의 바닥호안에 설치하여 표류수를 취수하고 관거부를 통하여 제내지로 도수하는 시설이다.
유황이 안정되고 수위의 변동이 적은 하천에 적합하며, 보통 중규모 이하의 취수에 쓰인다.
취수둑과 병용해서 대량으로 취수도 가능하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댐(Fill Dam)의 구분과 특징 (0) | 2016.07.05 |
---|---|
적조 현상과 발생조건 (0) | 2016.07.04 |
질소화합물 배출원의 종류는? (0) | 2016.07.02 |
유량계의 종류 (0) | 2016.07.01 |
혐기성 처리와 공정 및 슬러지의 처분 등 (0) | 2016.06.29 |